
서울시 2050년 온실가스 Net-Zero 달성 위한 MOU 체결식 개최
[천지일보=김빛이나 기자] 서울에너지공사(사장 김중식)가 2050년 온실가스 Net-Zero 달성을 위한 저탄소에너지 보급 확대 및 기반사업 운영 등 서울형 그린뉴딜사업 청사진을 제시했다고 25일 밝혔다. 온실가스 Net-Zero는 온실가스 순배출 ‘0’을 의미한다.
서울에너지공사(사장 김중식)는 이날 서울시 서소문1청사 대회의실에서 서울특별시, 서울기술연구원,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,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, 한국에너지공단, 서울기술연구원, 한국태양광산업협회 등 6개 기관과 ‘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서울형 그린뉴딜사업 추진 업무협약’을 체결했다.
이번 협약을 통해 7개 기관은 태양광 신기술 실증단지 조성 및 혁신기술 보급 확대 등 업무협력을 하기로 했다.
협약 주요 내용은 ▲그린뉴딜 이행을 위한 탄소저감 기술 및 신제품 지속 발굴 ▲에너지와 ICT융합, 생산·소비 균형을 위한 도시기반기술 지원 ▲그린에너지 혁신기술에 대한 기술검증을 통해 저탄소에너지 보급 확대 ▲그린뉴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산업육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 ▲건물 중심 저탄소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 실증 기술 지원 등이다.
김중식 서울에너지공사 사장은 협약식에서 “서울시와 우리 공사를 포함해 7개 기관이 함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그린뉴딜 사업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돼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”며 “그린뉴딜은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의미하며 다가올 새로운 시대 즉, 포스트 코로나의 핵심과제”라고 말했다.
이어 “이번 협약은 우리 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온실가스 저감,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저탄소에너지 보급 확대 및 기반사업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”며 “앞으로 우리 공사는 이 자리에 함께한 전문기관들과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고 덧붙였다.
한편 이번 협약식은 2050년 온실가스 Net-Zero 달성을 위한 태양광 신기술 발굴을 위한 기반 구축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마련된 것이다. 특히 공사는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분야 민·관·연의 전략적 협력체계를 구축해 그린뉴딜 생태계를 조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.
